[캔들스토리TV 요약] 독일 초인플레이션 시절, 뭐하는 사람이 돈 벌었을까? | 독일사례


독일 초인플레이션 시절, 뭐하는 사람이 돈 벌었을까? 독일사례

영상 자료

  • [참고] 금본위제 : 금을 기준으로 화폐와 금의 일정한 비율이 있어 금을 가진 만큼만 화폐를 찍어낼 수 있음 (현재는 금본위제 아님)

  • 1차 대전 이후 ~ 2차 대전 이전 혼란의 독일 경제

  • 1차대전(~1918) 이후 전쟁에 패한 독일은 천문학적인 전쟁배상금을 승전국에게 물어줘야하는 상황 (베르사유 조약과 전쟁에서 빌린 돈)

  • 수출경쟁력(가격경쟁력)을 늘리고 경제를 살린다는 목적으로 독일은 마르크화 가치를 내리게 됨(돈을 많이 찍어냄) (그동안 유지되던 금본위제가 1차대전을 전후하여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시기였음)

  • 양적 완화(금리 인하로 인해 경기부양 효과가 한계에 봉착했을때 중앙은행이 국채매입 ㄷ등을 통해 유동성을 시중에 직접 푸는 정책)라는 명목으로 돈 찍어냄

  • 전쟁 배상금은 신용도가 떨어진 독일 화폐가 아니라 파운드나 달러 등으로 갚아야 했음. 무작정 찍어내는 마르크화는 돈의 가치만 떨어뜨렸음

  • 독일이 마르크화를 많이 찍어내는 만큼 가치가 떨어지기 때문에 돈의 양을 늘려서 배상금을 갚는다는 건 어불성설

  • 독일은 유럽에서 영국 다음으로 큰 금융 중심지였음

  • 그런 독일이 왜 이런 대혼란 벌어지는 통화정책을 펼쳤을까?

  • 의도적인 국내 경제혼란을 일으켜 승전국과의 이해관계를 이용하려했다는 의견이 지배적임

  • 독일은 의도적인 초인플레이션을 일으켜 사실상 디폴트(채무불이행) 선언을 우회적으로 해버린 것

  • 이런 국가적인 계획을 위해서 독일지도부는 국민의 고통분담은 당연하다 생각했음

  • 미국의 경제학자 ‘밀턴 프리드먼’ “초인플레이션은 정치시스템이 고의적으로 일으키지만 않으면 발생하지 않는다” -> 초인플레이션은 정치적인 현상

  • 결국 독일의 경제문제가 가시화 되어 승전국들이 독일 경제에 관심, 지원

  • 독일이 초인플레이션을 겪는 동안 누가 돈을 벌었을까?

  • ex) 국민 생각 : 매달 연금도 있고 예금도 있으니 사는데 문제없음.(지표 표시된 금액 100만 -> 생활 가능한 돈)
    (100만원 나오는 연금으로 빵 하나 못사네 ㅠㅠ, 지폐 표시된 금액 100만 -> 빵가격 1억)

  • 안정된 예금과 고정수익을 가지고 있던 독일의 중산층은 몰락하게 됨

  • 국민들 입장에서는 초인플레이션 상황에서 물가에 맞게 수익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은 회사에서 주는 임금이 유일 (ex. 수출기업 왈 “물가상승률 만큼 임금을 올려주겠소, 국민 왈 “예금이고 연금이고 다 필요없다 취직만이 살 길!”)

  • 당시 노동시장에 노동공급이 폭증

  • 수출 기업 생각 : 옛날에 기업대출 100억 받은거 갚으면되지ㅋ 껌깞인데. 지금 직원 월급이 10조 인데

  • 1차대전 동안 기업들은 대량의 설비를 부채를 통해 갖춘 상태. 채무 부담이 컸었음.

  • 그런데 초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서 부채의 부담이 거의 사라져버림(마르크화 가치가 거의 없어져버림)

  • 초인플레이션이 발생할걸 알고 있던 고위층은 이전에 엄청난 대출을 통해 부동산과 같은 고정자산으로 미리 대비

  • 초인플레이션은 기존에 과도한 부채에 허덕이던 기업을 살려주게 된 셈(수출기업)

  • 극단적인 양극화가 발생해버림

  • 1918년 : 1차 세계대전 독일 패전, 1919년 : 베르사유 조약, 1922 : 초 인플레이션 발생

  • 1924년 : 통화개혁(‘렌텐마르크’ 1달러당 4.2렌텐마르크 교환비율 맞춤), 도스플랜 (미국 중심으로 독일에 전쟁배상금 낮춤, 차관 제공), 이후 독일 급성장 시작

  • 1930년 : 미국 공황으로 인해 ‘스무트 홀리 관세법’ 시행, 세계 보호무역강화 수출의존 독일 직격탄, 이후 경제 불황 심각해짐

  • 1933년 : 히틀러 집권






© 2018. by statssy

Powered by statssy